1974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 FIFA 월드컵은 서독에서 개최되었으며, 새로운 대회 방식과 함께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서독이 우승을 차지하고, 네덜란드가 준우승을, 폴란드가 3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는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동독, 오스트레일리아, 아이티, 자이르가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총 97골이 터졌으며, 그제고시 라토가 7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서독과 동독의 경기는 분단 상황에서 유일한 A매치로 기록되었으며, 네덜란드의 토털 풋볼과 서독의 리베로 시스템이 축구 전술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독일 - 1974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
1974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은 50.6%의 득표율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을 앞서며 승리했고, 자유민주당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독일 국민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은 실패했다. - 1974년 FIFA 월드컵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어 유럽에 8.5장, 남미에 2.5장, 북중미카리브,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에 각각 1장의 티켓이 배정되었으며, 서독, 브라질을 포함한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 1974년 FIFA 월드컵 -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74년 7월 7일 뮌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서독의 경기에서 서독이 2-1로 승리하여 우승했으며, 파울 브라이트너와 게르트 뮐러가 득점했고, 네덜란드는 요한 네이스컨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준우승했다. - 1974년 6월 - 제2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2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74년에 개최되어 로돌포 쿤이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더디 크래비츠의 수습 기간》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진보적인 성향의 영화들이 수상하며 정치적 논쟁을 야기했다. - 1974년 6월 - 1974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
1974년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은 50.6%의 득표율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을 앞서며 승리했고, 자유민주당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독일 국민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은 실패했다.
1974년 FIFA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FIFA 월드컵 |
연도 | 1974 |
다른 이름 | 독일어: Fußball-Weltmeisterschaft 1974 |
![]() | |
개최국 | 서독 서베를린 |
개최 기간 | 6월 13일 – 7월 7일 |
참가 대륙 연맹 | 5 |
참가 팀 수 | 16 |
경기장 수 | 9 |
개최 도시 수 | 9 |
결과 | |
우승 팀 | 서독 |
우승 횟수 | 2 |
준우승 팀 | 네덜란드 |
3위 팀 | 폴란드 |
4위 팀 | 브라질 |
통계 | |
총 경기 수 | 38 |
총 득점 | 97 |
총 관중 수 | 1774022 |
개인 수상 | |
득점왕 | 그제고시 라토 (7골) |
신인 선수상 | 브와디스와프 주무다 |
팀 수상 | |
페어 플레이상 | 서독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1970 |
다음 대회 | 1978 |
2. 개최국 선정
1966년 7월 6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1974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서독이 선정되었다.[2] 스페인은 1982년 FIFA 월드컵 개최권을 얻는 조건으로 서독 유치를 지지하였다.[2]
개최국 | 득표수 | 결과 |
---|---|---|
-- 서독 | — | 개최 |
-- 스페인 | — | 유치 포기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총 98개국이 참가했다.[15] 각 지역별 예선이 진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74년 FIFA 월드컵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아시아(AFC)에서는 진출국이 없었고, 아프리카(CAF)에서는 자이르(현재의 콩고민주공화국)가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7] 오세아니아(OFC)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처음으로 진출했으며,[17] 북중미카리브(CONCACAF)에서는 아이티가 카리브해 국가로는 1938년 쿠바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7]
이 대회는 새로운 방식을 선보였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1차 조별 리그를 치렀고, 각 조 상위 2팀은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4개 팀씩 2개 조로 다시 리그전을 치렀다. 2차 조별 리그 각 조 1위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각 조 2위 팀은 3·4위전에 진출했다.[3] 이 방식은 1978년 월드컵을 제외하고는 이 대회에서만 사용되었다.
개최국 서독, 전 대회 우승국 브라질, 그리고 1970년 FIFA 월드컵 준결승 진출팀인 이탈리아와 우루과이가 시드 배정을 받았다.[7] 나머지 국가들은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포트에 배정되었다.[9][10]
최종 토너먼트에 출전한 모든 국가대표팀 명단은 197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전 선수는 1974년 FIFA 월드컵 참가 팀을 참조하십시오.[15]
5개 대륙 연맹에서 총 30명의 심판이 1974년 FIFA 월드컵 경기를 주관했다.
98개국이 예선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17]
2008년, 전 FIFA 회장 주앙 아벨란제는 1974년 월드컵이 개최국 서독의 우승을 위해 조작되었다고 주장했으나,[2] 이는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3. 지역 예선
지역 예선 국가/팀 유럽 (UEFA) 32개 팀 중 9개 팀 (9.5장)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서독 (개최국), 폴란드, 불가리아, 동독, 유고슬라비아, 스코틀랜드 남미 (CONMEBOL) 9개 팀 중 4개 팀 (3.5장) 우루과이, 칠레, 브라질 (1970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아르헨티나 북중미&카리브 (CONCACAF) 14개 팀 중 1개 팀 (1장) 아이티 아시아·오세아니아 (AFC·OFC) 18개 팀 중 1개 팀 (1장)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CAF) 24개 팀 중 1개 팀 (1장) 자이르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국 잉글랜드를 비롯하여 프랑스, 멕시코, 스페인, 포르투갈, 페루,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 여러 강팀들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소련은 1973년 칠레 쿠데타의 여파로 칠레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 불참하여 실격 처리되었다.[16]
네덜란드와 폴란드는 1938년 이후 처음으로, 스코틀랜드는 16년 만에 본선에 복귀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는 1970년 대회를 놓친 후 다시 본선에 진출했고, 유고슬라비아는 1966년과 1970년 대회를 모두 결장한 후 복귀했다.
동독, 오스트레일리아, 아이티, 자이르는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세아니아 국가 최초, 아이티는 1938년 쿠바 이후 카리브해 국가 최초, 자이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본선에 진출했다.
2022년 기준으로, 이 대회는 아이티와 자이르(현 DR콩고)가 FIFA 월드컵에 마지막으로 진출한 대회이자, 스페인이 마지막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한 대회이다.
4. 본선 진출국
남미(CONMEBOL)에서는 브라질(전 대회 우승국),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가 본선에 진출했다. 유럽(UEFA)에서는 개최국 서독을 비롯하여 동독(첫 출전), 네덜란드, 이탈리아, 폴란드,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스코틀랜드가 진출했다.197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팀 AFC (0) CAF (1) OFC (1) CONCACAF (1) CONMEBOL (4) UEFA (9) 5. 대회 방식
1차 조별 리그에서는 동률팀 발생시 다음의 기준을 따랐다.
1.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승점
2.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득실차
3.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득점 수
4.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2차 조별 리그에서는 동률팀 발생시 다음의 기준을 따랐다.
1. 2차전 조별리그 경기의 총 획득 점수
2. 2차전 조별리그 경기의 골득실
3. 2차전 조별리그 경기의 총 득점
4. 1차전 조별리그 순위
5.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1974년 월드컵에서 FIFA는 120분 경기 후에도 무승부일 경우 승자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승부차기를 도입했다.[3] 하지만 3·4위전과 결승전 모두 90분 안에 승부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승부차기가 처음으로 사용된 월드컵은 1982년 월드컵 프랑스와 서독의 준결승전이었다.
개최국이 2라운드에 진출할 경우, 개최국의 경기는 다른 경기와 동시에 치르지 않고 다른 시간대(현지 시간 16:00 또는 19:30)에 치르기로 사전에 결정되었다.[4]
6.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뮌헨 서베를린 함부르크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베스트팔렌슈타디온 라인슈타디온 수용인원: 80,000명 수용인원: 86,000명 수용인원: 62,000명 수용인원: 67,000명 수용인원: 54,000명 겔젠키르헨 프랑크푸르트암마인 하노버 슈투트가르트 파르크슈타디온 발트슈타디온 니더작센슈타디온 네카어슈타디온 수용인원: 72,000명 수용인원: 61,000명 수용인원: 65,000명 수용인원: 71,000명
1974년 FIFA 월드컵은 서독과 서베를린의 9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나치 독일 패배로 인한 동서 분단 이전의 마지막 대회였던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이 열린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과 이 대회 2년 전에 열린 1972년 뮌헨 올림픽이 열린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을 사용하였다. 특히 베를린 개최에 대해서, 동독 측은 서베를린은 서독(독일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항의했지만, 서독은 이를 거부했다.
7. 시드 배정
시드 배정팀
(1970년 준결승 진출팀)포트 1: 서유럽
(비시드팀)포트 2: 동유럽
(비시드팀)포트 3: 남아메리카
(비시드팀)포트 4: 기타 지역
(비시드팀)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8. 선수 명단
9. 심판
10. 16강 조별 리그
1966년 우승국인 잉글랜드를 비롯하여 프랑스, 멕시코, 스페인, 포르투갈, 페루,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소련은 1973년 칠레 쿠데타의 결과로 칠레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 경기에 참가하지 않아 실격 처리되었다.[17]
네덜란드와 폴란드는 1938년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고, 스코틀랜드는 16년 만에 본선 무대에 복귀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는 1970년 대회를 놓친 후 다시 돌아왔고, 유고슬라비아는 1966년과 1970년 대회를 모두 결장한 후 복귀했다.[17]
동독(독립팀으로서 FIFA 성인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 오스트레일리아(오세아니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본선 진출), 아이티(1938년 쿠바 이후 카리브해 국가로는 처음으로 본선 진출), 자이르(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로는 처음으로 본선 진출)가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7]197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팀 AFC (0) CAF (1) OFC (1) CONCACAF (1) CONMEBOL (4) UEFA (9)
1차 조별 리그에서는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은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하위 2개 팀은 탈락했다.
'''동률 해결 기준'''
팀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
: 1.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승점
: 2.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득실차
: 3. 모든 조별 예선 경기의 득점 수
: 4.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10. 1. 1조
1조에는 동독, 서독, 칠레, 오스트레일리아가 속해 있었다. 조 추첨 결과 동독과 서독이 같은 조에 편성되면서 큰 화제를 모았다.
일시 | 장소 | 결과 | |||
---|---|---|---|---|---|
1974년 6월 14일 | 올림피아 스타디온 (서베를린) | 서독 | 1 – 0 | 칠레 | |
1974년 6월 14일 |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함부르크) | 동독 | 2 – 0 | 오스트레일리아 | |
1974년 6월 18일 |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함부르크) | 오스트레일리아 | 0 – 3 | 서독 | |
1974년 6월 18일 | 올림피아 스타디온 (서베를린) | 칠레 | 1 – 1 | 동독 | |
1974년 6월 22일 | 올림피아 스타디온 (서베를린) | 오스트레일리아 | 0 – 0 | 칠레 | |
1974년 6월 22일 |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함부르크) | 동독 | 1 – 0 | 서독 |
특히 함부르크에서 열린 동독과 서독의 경기는 분단 상황이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 경기에서 슈파바서의 결승골로 동독이 1-0으로 승리했다.[11] 동독과 서독이 모두 2라운드에 진출했다.
10. 2. 2조
-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스코틀랜드는 승점이 같았으나, 골득실차에 의해 유고슬라비아와 브라질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 스코틀랜드는 1승 2무로 무패를 기록했으나, 골득실에 밀려 탈락했다.

10. 3. 3조
- ---
1974년 6월 15일 16:00, 니더작센슈타디온 (하노버)에서 열린 우루과이와 네덜란드의 경기에서 레프가 2골()을 넣어 네덜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 (관중: 55,100명, 심판: 카로이 팔로타이 (헝가리))
같은 날 16:00, 라인슈타디온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스웨덴과 불가리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관중: 23,800명, 심판: 에디슨 페레스 누녜스 (페루))
- ---
1974년 6월 19일 19:30, 니더작센슈타디온 (하노버)에서 열린 불가리아와 우루과이의 경기에서는 보네프()와 파보니()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관중: 13,400명, 심판: 잭 테일러 (잉글랜드))
같은 날 19:30, 베스트팔렌슈타디온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관중: 53,700명, 심판: 베르너 빈제만 (캐나다))
- ---
1974년 6월 23일 16:00, 베스트팔렌슈타디온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불가리아와 네덜란드의 경기에서 네덜란드가 네스켄스(), 레프(), 더 용()의 득점과 크롤의 자책골()로 4:1로 승리했다. (관중: 53,300명, 심판: 토니 보스코비치 (오스트레일리아))
같은 날 16:00, 라인슈타디온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스웨덴과 우루과이의 경기에서는 에드스트룀()과 산드베리()의 득점으로 스웨덴이 3:0으로 승리했다. (관중: 28,300명, 심판: 에리히 라이네마이어 (오스트리아))
3조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불가리아, 우루과이가 속해 있었다. 네덜란드는 요한 크라위프를 중심으로 "토털풋볼"을 선보이며 강한 인상을 남겼고, 스웨덴과 함께 2라운드에 진출했다.
10. 4. 4조
4조에는 폴란드,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아이티가 속해 있었다. 폴란드와 아르헨티나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 1974년 6월 15일, 뮌헨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아이티의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리베라, 베네티, 아나스타시의 득점에 힘입어 3-1로 승리했다. 아이티는 사논이 득점했다.[17]
- 같은 날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에서 열린 폴란드와 아르헨티나의 경기에서는 폴란드가 라토의 2골과 샤르마흐의 득점으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아르헨티나는 에레디아와 바빙톤이 득점했다.
- 1974년 6월 19일,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아르헨티나는 오우세만이, 이탈리아는 페르푸모의 자책골로 득점했다.
- 같은 날 뮌헨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아이티와 폴란드의 경기에서는 폴란드가 라토의 2골, 데이나의 1골, 샤르마흐의 3골, 고르곤의 1골로 7-0 대승을 거두었다.
- 1974년 6월 23일, 뮌헨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아이티의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는 야살데의 2골, 오우세만과 아얄라의 득점으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아이티는 사논이 득점했다.[17]
- 같은 날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에서 열린 폴란드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폴란드가 샤르마흐와 데이나의 득점으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카펠로가 득점했다.
이탈리아는 아이티와의 경기에서 사논에게 실점하며 초프의 무실점 기록이 깨졌다.[17]
11. 8강 2라운드
1974년 FIFA 월드컵은 8강 진출팀들이 토너먼트 대신 두 번째 조별 리그를 치르는 새로운 방식을 선보였다. 각 조 1위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2위 팀은 3·4위전을 치렀다.[3]
2차 조별 리그는 1차 조별 리그를 통과한 8개 팀이 4개 팀씩 두 개 조(A조, B조)로 나뉘어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부여되었다.
동률 결정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1. 2차 조별리그 경기의 총 획득 점수
2. 2차 조별리그 경기의 골득실
3. 2차 조별리그 경기의 총 득점
4. 1차 조별리그 순위
5.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A조에서는 네덜란드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전에 진출했고, 브라질이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여 3·4위전에 진출했다. 동독과 아르헨티나는 각각 1무 2패로 탈락했다.
B조에서는 서독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전에 진출했고, 폴란드가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여 3·4위전에 진출했다. 스웨덴과 유고슬라비아는 각각 1승 2패, 3패로 탈락했다.
11. 1. A조
일시 | 경기 | 결과 | 비고 |
---|---|---|---|
1974년 6월 26일 | 네덜란드 4 – 0 아르헨티나 | 요한 크라위프|크라위프nl , 뤼트 크롤|크롤nl , 요니 렙|렙nl | 겔젠키르헨 파르크슈타디온[3] |
1974년 6월 26일 | 브라질 1 – 0 동독 | 호베르투 히벨리누|히벨리누pt | 하노버 니더작센슈타디온[3] |
1974년 6월 30일 | 아르헨티나 1 – 2 브라질 | 미구엘 앙헬 브린디시|브린디시es (아르헨티나) 호베르투 히벨리누|히벨리누pt , 자이르지뉴|자이르지뉴pt (브라질) | 하노버 니더작센슈타디온[3] |
1974년 6월 30일 | 동독 0 – 2 네덜란드 | 요한 네이스컨스|네이스컨스nl , 로프 렌센브링크|렌센브링크nl (네덜란드) | 겔젠키르헨 파르크슈타디온[3] |
1974년 7월 3일 | 아르헨티나 1 – 1 동독 | 레네 오우세만|오우세만es (아르헨티나) 요아힘 슈트라이히|슈트라이히de (동독) | 겔젠키르헨 파르크슈타디온[3] |
1974년 7월 3일 | 네덜란드 2 – 0 브라질 | 요한 네이스컨스|네이스컨스nl , 요한 크라위프|크라위프nl | 도르트문트 베스트팔렌슈타디온[3] |
결과적으로 '''네덜란드'''가 결승전에 진출하고, '''브라질'''이 3·4위전에 진출하였다.
11. 2. B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6 | 3 | 3 | 0 | 0 | 7 | 2 | +5 | |
4 | 3 | 2 | 0 | 1 | 3 | 2 | +1 | |
2 | 3 | 1 | 0 | 2 | 4 | 6 | -2 | |
0 | 3 | 0 | 0 | 3 | 2 | 6 | -4 |
- 서독이 결승전에 진출하고, 폴란드가 3·4위전에 진출했다.
1974년 6월 26일, 유고슬라비아는 라인슈타디온(뒤셀도르프)에서 서독을 상대로 0-2로 패배했다. 브라이트너가 전반 39분에, 뮐러가 후반 82분에 득점했다.[3] 같은 날 스웨덴은 네카어슈타디온(슈투트가르트)에서 폴란드에게 0-1로 패했다. 폴란드의 라토가 전반 43분에 결승골을 넣었다.[4]
6월 30일, 폴란드는 발트슈타디온(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유고슬라비아를 2-1로 꺾었다. 데이나가 전반 24분에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라토가 후반 62분에 추가 득점을 올렸다. 유고슬라비아의 카라시는 전반 43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5] 같은 날 서독은 라인슈타디온에서 스웨덴을 4-2로 이겼다. 서독의 오베라트 (후반 51분), 본호프 (후반 52분), 그라보프스키 (후반 76분), 회네스 (후반 89분, 페널티킥)가 득점했고, 스웨덴의 에드스트룀 (전반 24분)과 샌드버리 (후반 53분)가 득점했다.[6]
7월 3일, 폴란드는 발트슈타디온에서 서독에게 0-1로 졌다. 뮐러가 후반 76분에 결승골을 넣었다.[7] 같은 날 스웨덴은 라인슈타디온에서 유고슬라비아를 2-1로 이겼다. 에드스트룀 (전반 29분)과 토르스텐손 (후반 85분)이 스웨덴을 위해 득점했고, 수르야크 (전반 27분)가 유고슬라비아의 골을 넣었다.[8]
12. 결선 토너먼트
1974년 FIFA 월드컵은 새로운 경기 방식을 선보였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상위 2개 팀(총 8개 팀)은 2차 조별 리그를 통해 결승 진출팀을 가렸다. 이전 다섯 번의 월드컵과는 달리 8강 토너먼트 방식이 아닌, 두 번째 조별 리그를 통해 각 조 1위 팀이 결승전에 진출하고, 각 조 2위 팀은 3·4위전을 치르는 방식이었다.[3] 이는 1978년 월드컵을 제외하고 단 두 번만 사용된 방식이다.
또한, 1974년 월드컵에서는 경기 시간이 120분이어도 무승부일 경우 승자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승부차기가 도입되었다.[3] 그러나 3·4위전과 결승전 모두 90분 안에 승부가 결정되어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승부차기가 처음으로 사용된 월드컵은 1982년 월드컵 프랑스와 서독의 준결승전이었다.
개최국이 2라운드에 진출할 경우, 개최국의 경기는 다른 경기와 동시에 치르지 않고 다른 시간대(현지 시간 16:00 또는 19:30)에 치르기로 사전에 결정되었다.[4]
12. 1. 3·4위전
3·4위전은 1974년 7월 6일 뮌헨의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에서 폴란드가 브라질을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 그제고시 라토는 이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총 7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1]아래는 1974년 FIFA 월드컵의 득점 순위이다.
순위 | 선수명 | 국적 | 득점 수 |
---|---|---|---|
1 | 그제고시 라토 | 폴란드 | 7 |
2 | 안제이 샤르마흐 | 폴란드 | 5 |
요한 네이스켄스 | 네덜란드 | ||
4 | 게르트 뮐러 | 서독 | 4 |
요니 레프 | 네덜란드 | ||
랄프 에드스트룀 | 스웨덴 | ||
7 | 요한 크루이프 | 네덜란드 | 3 |
파울 브라이트너 | 서독 | ||
리베리누 | 브라질 | ||
레네 오우세만 | 아르헨티나 | ||
두샨 바예비치 | 유고슬라비아 | ||
카지미에시 데이나 | 폴란드 |
12. 2. 결승전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74년 7월 7일 뮌헨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서독이 네덜란드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시작 2분 만에 요한 네이스컨스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파울 브라이트너가 25분에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만들었다. 이후 43분에 게르트 뮐러가 결승골을 넣어 서독이 최종 스코어 2-1로 승리했다.[2]네덜란드 | 서독 | ||||
---|---|---|---|---|---|
선수 | 선수 | ||||
GK | 8 | 얀 융블루트 | GK | 1 | 제프 마이어 |
RB | 20 | 윔 슈르비어 | RB | 2 | 베르티 포크츠 |
CB | 17 | 윔 라이세베르헌 | CB | 5 | 프란츠 베켄바워 (주장) |
CB | 2 | 아리 한 | CB | 4 |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베크 |
LB | 12 | 르트 크롤 | LB | 3 | 파울 브라이트너 |
DM | 6 | 빔 얀센 | CM | 16 | 라이너 본호프 |
CM | 13 | 요한 네이스컨스 | CM | 12 | 볼프강 오베라트 |
CM | 3 | 빌럼 판 하네험 | AM | 14 | 울리 회네스 |
RW | 16 | 요니 레프 | RW | 9 | 위르겐 그라보브스키 |
LW | 15 | 롭 렌센브링크 | LW | 17 | 베른트 헐첸바인 |
CF | 14 | 요한 크루이프 (주장) | CF | 13 | 게르트 뮐러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GK | 18 | 피트 스프라이퍼스 | GK | 21 | 노르베르트 니그부어 |
DF | 5 | 리누스 이스라엘 | DF | 6 | 호르스트-디터 헷게스 |
MF | 7 | 테오 데 용 | MF | 8 | 베른하르트 쿨만 |
MF | 10 | 르네 판 더 케르크호프 | MF | 15 | 하인츠 플뢰에 |
FW | 9 | 피트 카이저 | FW | 11 | 유프 하인케스 |
감독: | 감독: | ||||
리누스 미케尔스 | 헬무트 쇤 |
13. 우승국
'''서독'''은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였다. (통산 2번째 우승)[3]
14. 준우승국
네덜란드는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서독에게 1-2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네이스켄스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브라이트너와 뮐러에게 연속 실점을 허용하며 역전패하였다.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비고 | |
---|---|---|---|---|
GK | 8 | 얀 융블루트 | ||
RB | 20 | 윔 슈르비어 | ||
CB | 17 | 윔 라이세베르헌 | ||
CB | 2 | 아리 한 | ||
LB | 12 | 르트 크롤 | ||
DM | 6 | 빔 얀센 | ||
CM | 13 | 요한 네이스켄스 | ||
CM | 3 | 빌럼 판 하네험 | ||
RW | 16 | 요니 레프 | ||
LW | 15 | 롭 렌센브링크 | ||
CF | 14 | 요한 크루이프 -- | ||
교체 선수 | ||||
GK | 18 | 피트 스프라이퍼스 | ||
DF | 5 | 리누스 이스라엘 | ||
MF | 7 | 테오 데 용 | ||
MF | 10 | 르네 판 더 케르크호프 | ||
FW | 9 | 피트 카이저 | ||
감독 | ||||
리누스 미케尔스 |
- > 교체 아웃 템플릿은 제거
- > 교체 투입 템플릿은 제거
- > 경고 템플릿 제거
- - -> 주장표시 템플릿은 유지
15. 득점 선수
선수 | 골 |
---|---|
그제고시 라토 | 7 |
요한 네이스컨스 | 5 |
안제이 샤르마흐 | 5 |
게르트 뮐러 | 4 |
요니 렙 | 4 |
랄프 에드스트룀 | 4 |
레네 오우세만 | 3 |
히벨리누 | 3 |
파울 브라이트너 | 3 |
요한 크루이프 | 3 |
카지미에시 데이나 | 3 |
두샨 바예비치 | 3 |
엑토르 야살데 | 2 |
자이르지뉴 | 2 |
요아힘 슈트라이히 | 2 |
볼프강 오베라트 | 2 |
에마뉘엘 사논 | 2 |
조 조던 | 2 |
롤란드 산드버리 | 2 |
스타니슬라프 카라시 | 2 |
이비차 수르야크 | 2 |
루벤 아얄라 | 1 |
카를로스 바빙톤 | 1 |
미겔 앙헬 브린디시 | 1 |
라몬 에레디아 | 1 |
발도미루 | 1 |
흐리스토 보네프 | 1 |
세르히오 아우마다 | 1 |
마르틴 호프만 | 1 |
위르겐 슈퍼바서 | 1 |
라이너 본호프 | 1 |
베른하르트 쿨만 | 1 |
위르겐 그라보프스키 | 1 |
울리 회네스 | 1 |
피에트로 아나스타시 | 1 |
로메오 베네티 | 1 |
파비오 카펠로 | 1 |
잔니 리베라 | 1 |
테오 더 용 | 1 |
뤼트 크롤 | 1 |
로브 옌센브링크 | 1 |
예지 고르곤 | 1 |
피터 로리머 | 1 |
코니 토르스텐손 | 1 |
히카르도 파보니 | 1 |
블라디슬라프 보기세비치 | 1 |
드라간 자이치 | 1 |
요십 카탈린스키 | 1 |
브란코 오블라크 | 1 |
일리야 페트코비치 | 1 |
16. 최종 순위
1974년 FIFA 월드컵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2라운드 조 1위는 결승전, 조 2위는 3·4위전을 치렀다.
- 2라운드 이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 2라운드 탈락 팀은 5~8위, 1라운드 탈락 팀은 9~16위이다.
-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 득점은 총 득점에 포함되지 않는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서독 | 7 | 6 | 0 | 1 | 13 | 4 | +9 | 12 |
2 | 네덜란드 | 7 | 5 | 1 | 1 | 15 | 3 | +12 | 11 |
3 | 폴란드 | 7 | 6 | 0 | 1 | 16 | 5 | +11 | 12 |
4 | 브라질 | 7 | 3 | 2 | 2 | 6 | 4 | +2 | 8 |
5 | 스웨덴 | 6 | 2 | 2 | 2 | 7 | 6 | +1 | 6 |
6 | 동독 | 6 | 2 | 2 | 2 | 5 | 5 | 0 | 6 |
7 | 유고슬라비아 | 6 | 1 | 2 | 3 | 12 | 7 | +5 | 4 |
8 | 아르헨티나 | 6 | 1 | 2 | 3 | 9 | 12 | -3 | 4 |
9 | 스코틀랜드 | 3 | 1 | 2 | 0 | 3 | 1 | +2 | 4 |
10 | 이탈리아 | 3 | 1 | 1 | 1 | 5 | 4 | +1 | 3 |
11 | 칠레 | 3 | 0 | 2 | 1 | 1 | 2 | -1 | 2 |
12 | 불가리아 | 3 | 0 | 2 | 1 | 2 | 5 | -3 | 2 |
13 | 우루과이 | 3 | 0 | 1 | 2 | 1 | 6 | -5 | 1 |
14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1 | 2 | 0 | 5 | -5 | 1 |
15 | 아이티 | 3 | 0 | 0 | 3 | 2 | 14 | -12 | 0 |
16 | 자이르 | 3 | 0 | 0 | 3 | 0 | 14 | -14 | 0 |
1986년 FIFA는 1986년 월드컵을 포함하여 그 이전 모든 월드컵의 모든 팀들을 대회 성적, 전반적인 결과, 그리고 상대 팀의 질을 기반으로 순위를 매긴 보고서를 발표했다.[13][14] 1974년 대회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서독 | 1조/B조 | 7 | 6 | 0 | 1 | 13 | 4 | +9 | 12 |
2 | 네덜란드 | 3조/A조 | 7 | 5 | 1 | 1 | 15 | 3 | +12 | 11 |
3 | 폴란드 | 4조/B조 | 7 | 6 | 0 | 1 | 16 | 5 | +11 | 12 |
4 | 브라질 | 2조/A조 | 7 | 3 | 2 | 2 | 6 | 4 | +2 | 8 |
2차 조별리그 탈락 | ||||||||||
5 | 스웨덴 | 3조/B조 | 6 | 2 | 2 | 2 | 7 | 6 | +1 | 6 |
6 | 동독 | 1조/A조 | 6 | 2 | 2 | 2 | 5 | 5 | 0 | 6 |
7 | 유고슬라비아 | 2조/B조 | 6 | 1 | 2 | 3 | 12 | 7 | +5 | 4 |
8 | 아르헨티나 | 4조/A조 | 6 | 1 | 2 | 3 | 9 | 12 | −3 | 4 |
1차 조별리그 탈락 | ||||||||||
9 | 스코틀랜드 | 2조 | 3 | 1 | 2 | 0 | 3 | 1 | +2 | 4 |
10 | 이탈리아 | 4조 | 3 | 1 | 1 | 1 | 5 | 4 | +1 | 3 |
11 | 칠레 | 1조 | 3 | 0 | 2 | 1 | 1 | 2 | −1 | 2 |
12 | 불가리아 | 3조 | 3 | 0 | 2 | 1 | 2 | 5 | −3 | 2 |
13 | 우루과이 | 3조 | 3 | 0 | 1 | 2 | 1 | 6 | −5 | 1 |
14 | 오스트레일리아 | 1조 | 3 | 0 | 1 | 2 | 0 | 5 | −5 | 1 |
15 | 아이티 | 4조 | 3 | 0 | 0 | 3 | 2 | 14 | −12 | 0 |
16 | 자이르 | 2조 | 3 | 0 | 0 | 3 | 0 | 14 | −14 | 0 |
17. 기록
- 총 골 : 97골(38경기, 평균 2.56골)
- 월드컵 900호골 : 엑토르 야살데(아르헨티나, 1974년 6월 23일 아이티전)
- 최다득점 선수 : 그제고시 라토(폴란드, 7골)
- 해트트릭
- 1974년 6월 18일 유고슬라비아 v 자이르 - 두샨 바예비치
- 1974년 6월 19일 폴란드 v 아이티 - 안제이 샤르마흐
순위 | 선수 | 국가 | 득점 |
---|---|---|---|
1 | 그제고시 라토 | 폴란드 | 7 |
2 | 요한 네스켄스 | 네덜란드 | 5 |
2 | 안제이 샤르마흐 | 폴란드 | 5 |
4 | 조니 레프 | 네덜란드 | 4 |
4 | 랄프 에드스트룀 | 스웨덴 | 4 |
4 | 게르트 뮐러 | 서독 | 4 |
7 | 르네 하우스만 | 아르헨티나 | 3 |
7 | 리벨리누 | 브라질 | 3 |
7 | 요한 크라위프 | 네덜란드 | 3 |
7 | 카지미에시 데이나 | 폴란드 | 3 |
7 | 파울 브라이트너 | 서독 | 3 |
7 | 두샨 바예비치 | 유고슬라비아 | 3 |
13 | 엑토르 야살데 | 아르헨티나 | 2 |
13 | 자이르지뉴 | 브라질 | 2 |
13 | 요아힘 슈트라이히 | 동독 | 2 |
13 | 에마뉘엘 사농 | 아이티 | 2 |
13 | 조 조던 | 스코틀랜드 | 2 |
13 | 롤란트 산드베리 | 스웨덴 | 2 |
13 | 볼프강 오베라트 | 서독 | 2 |
13 | 스타니슬라프 카라시 | 유고슬라비아 | 2 |
13 | 이비차 슈르야크 | 유고슬라비아 | 2 |
18. 기타
이 대회부터 현재 사용되는 FIFA 월드컵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동독, 오스트레일리아, 아이티, 자이르(현 DR콩고)가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7] 서베를린에서 경기가 개최된 것에 대해 동독이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 2차 조별 리그 방식은 이 대회와 다음 대회인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만 사용되었다. 동독과 서독의 경기는 분단 상황에서 유일한 A매치였다. 네덜란드의 '토털풋볼'과 서독의 '리베로 시스템'은 당시 축구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1974 FIFA World Cup Germany - Awards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9-02-03
[2]
웹사이트
1966 & 1974 World Cups Were Fixed - Former FIFA President
https://www.goal.com[...]
2008-06-26
[3]
간행물
Nur das Endspiel wird wiederholt
1974-05-01
[4]
간행물
Das ist der Fahrplan
1974-05-01
[5]
웹사이트
Argentina on brink as Ante Rebic sparks rout to put Croatia through
https://www.theguard[...]
2018-06-21
[6]
웹사이트
1966 & 1974 World Cups Were Fixed – Former FIFA President
https://www.goal.com[...]
Goal.com
2008-06-26
[7]
웹사이트
FIFA World Cup seeded team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Ein Elfjähriger schreibt Fußball-Geschichte
https://web.archive.[...]
[9]
비디오
SYND 06/01/74 drawing of positions for the 1974 Football World Cup
https://www.youtube.[...]
1974-01-05
[10]
비디오
FIFA World Cup draw 1974 - mute
https://www.youtube.[...]
1974-01-05
[11]
서적
Die Deutschen in einer Gruppe: Die Auslosung am 5. Januar 1974
[12]
웹사이트
Schon's West Germans in numbers
http://www.fifa.com/[...]
2016-09-28
[13]
웹사이트
page 45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eb.archive.[...]
FIFA
2013-03-26
[15]
문서
旧ドイツ時代を含む。
[16]
문서
소련 선수의 쿠데타로 인한 치리 본선 진출
[17]
문서
동독과 자이르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본선 출전
[1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